홈페이지상위노출
[이데일리 정윤지 기자] 하루 앞으로 다가온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기일에 헌법재판소 주변은 말 그대로 폭풍전야다. 인근 지역은 차츰 폐쇄되고 있고, 인근 지하철역을 비롯해 카페·식당·궁궐 등 시설은 모두 문을 닫았거나 휴업을 준비 중이다. 경찰은 차벽 트럭과 경찰 버스 등으로 헌재 주변 길목을 차단하고, 보수와 진보단체 집회 장소를 분리하는 등 선고일 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 안국역사거리 일대에 경찰 기동대가 진압복을 입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기일 전날인 3일 오전부터 서울 종로구 안국역 인근은 경찰 경비인력과 집회 참가자, 일반 시민 등이 뒤섞여 긴장감이 맴돌았다. 선고일을 앞두고 서울지하철 3호선 안국역에는 탄핵 관련 집회로 인해 일부 출구가 폐쇄됐다는 안내방송이 쉴 새 없이 울려 퍼졌다. 환승구간인 서울지하철 3·4호선 충무로역에도 ‘4월 4일 안국역 폐쇄’라는 안내문이 붙은 것은 물론 헌재 인근 지하철역인 종로3가역에도 ‘4월 4일 일부 출구 폐쇄’라는 안내가 한국어·영어·중국어로 곳곳에 붙어 있었다. 이날 헌재 주변 상가들도 선고일 대비에 분주한 모습이었다. ‘임시 휴업 안내’를 붙이던 한 프랜차이즈 카페 직원은 “혹시 유리가 깨지거나 누군가가 들어오려고 하는 소동이 일까 봐 블라인드도 전부 내려놓고 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미 휴업에 들어간 매장들도 눈에 띄었다. 한 외국인 관광객은 “여기도 닫은 것 같다”며 불이 꺼진 매장 앞을 서성였다. 일본인 관광객 A(24)씨는 “곧 여행을 마치는데 내일 모두 닫는다고 해서 오늘 이곳을 왔지만 닫은 곳도 많아서 아쉽다”며 발을 돌렸다.경찰의 마지막 점검도 이어졌다. 시위대가 흥분해 경찰 차벽을 밀칠 것을 대비해 밧줄 등으로 바퀴를 묶는 모습도 보였다. 또 안국역 앞에 위치한 주유소와 공사장 앞에도 바리케이드를 치고 근처를 점검하기도 했다. 지방에서 속속 도착한 기동대 등 경력들도 차례로 헌재 근처로 배치됐고, 헬멧 등 보호장구를 착용한 경찰이 구호를 외치며 훈련하는 모습도 눈에 띄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3일 서울 종로 강원 고성 홍와슬 마을에 설치된 산불비상소화장치를 살펴보고 있는 활동가 모습. 녹색연합 제공 최근 영남 일대를 휩쓴 대형 산불 피해 지역에 산림에 인접한 ‘산불 비상소화장치’가 크게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산불 피해 지역 마을 가운데 비상소화장치가 아예 없는 곳도 있었다.2일 녹색연합이 발표한 ‘2025년 산불 피해 시군 산림 인접 산불 비상소화장치 현황’ 자료를 보면, 의성과 산청·안동·청송·영양·영덕·울주 등 산불 피해 7개 지역에 설치된 비상소화장치는 모두 110개에 불과했다.해당 장비는 주변에 산불이 났을 때 옥외 소화전과 호스를 연결해 산불 발생 인근 주택과 야산에 신속하게 물을 뿌릴 수 있도록 구성된 일체형 소방설비다. 특히 소방차 접근이 어렵거나 산불 위험이 큰 산림 인근 마을에서 초기 대응에 나설 수 있게 도와준다.이번 대형 산불이 났던 피해 지역 가운데 영덕이 91개로 산불 비상소화장치가 가장 많았고 청송 10개, 의성 5개, 안동 2개, 영양 1개, 신청 1개 순이었다. 울주에는 비상소화장치가 하나도 설치돼 있지 않았다. 지난 3월26일 경북 영양군 입암면 방전리 야산에서 입암면 의용소방대원이 산불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비상소화장치는 대형 산불 발생 때 유용하다. 2021년 강원 강릉 주문진 일대에 산불이 났을 때 마을 주민들과 노인복지센터 관계자들은 마을 입구에 있는 비상소화장치를 사용해 초기 진화에 성공했다. 당시 불은 산림 30㎡를 태우는 데 그쳤다.앞서 2018년 삼척·고성 산불, 2022년 울진·삼척 산불, 2022년 강릉·동해 산불처럼 대형 산불을 자주 겪은 강원·영동 일대에는 지난해 기준 총 1623개의 비상소화장치가 설치돼 있다. 강릉에 547개로 제일 많고 고성(324개), 양양(228개), 동해(220개), 삼척(171개), 속초(133개)에도 그 수가 상당했다.기후위기로 대형 산불이 반복될 가능성이 큰 만큼 예방 중심의 산불 대응이 확대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녹색연합은 “산림 인접 마을에 산불 비상소화장치를 설치하는 것은 주민들의 삶의 터전을 산불로부터 지키는 직접적인 대책”이라며 “산림 인접 산불 비상소화장치 설치를 법적 의무로 규정하고, 국가 차원의 체계적 설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윤연정 기자 yj2gaze@hani.co.kr
홈페이지상위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