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바티스트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25-06-14 17:37 조회22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장 바티스트
장 바티스트 시메옹 샤르댕, ‘산딸기 바구니’, 1761년. 프랑스 루브르박물관 소장품. © 2023 Musée du Louvre, Dist. Grand Palais Rmn / Hervé Lewandowski. 새빨간 산딸기가 산처럼 쌓여 있습니다. 제철을 맞아 물이 오른 산딸기가 그득한 바구니 아래 종이처럼 하얀 카네이션 두 송이가 놓여 있네요.흰 카네이션이 조명처럼 밝혀주는 ‘산딸기 산’은 촉촉한 윤기로 반지르르 빛이 납니다.하나 꺼내어 입에 넣으면 새콤한 맛이 팡팡 터질 것 같은 광경.작가는 이 그림을 보고 나도 모르게 입안에 침이 고일 사람들의 마음을 알아차렸는지 유리잔에 물을 담아 그려 놓았습니다.보는 사람의 몸과 마음을 움직이는 그림, 프랑스 화가 장 바티스트 시메옹 샤르댕(1669~1779)의 ‘산딸기 바구니’입니다.일상의 감칠맛을 담은 화가 장 바티스트 시메옹 샤르댕, 자화상, 1771년. 루브르박물관 소장품. 샤르댕은 18세기 프랑스 화가로 동물과 과일을 소재로 한 정물화로 인정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솜씨가 좋은 목수의 아들로 태어난 샤르댕은 소박한 환경에서 자랐지만 평생 대부분을 파리에서 보냈습니다.그런 그가 그림에 담은 것은 일상에서 누구나 발견하는 과일이나 컵, 물병 같은 물건들 혹은 부르주아나 노동 계층의 삶 속 순간을 담은 풍속화였습니다.당시 프랑스 미술계에서 정물화는 실력이 낮은 화가들이 그리는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살롱전’을 통해 화가들에게 상을 주고 일할 기회를 줬던 권력 기관인 아카데미는,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화가에게 역사화나 초상화를 맡겼습니다.그 다음이 정물화나 풍경화였죠. 그럼에도 샤르댕은 이례적으로 아카데미 정식 회원으로 인정받고 왕실과 귀족 컬렉터들에게 사랑을 받았습니다. 얀 브뤼겔 디 엘더, Chinese porcelain vase of flowers on a tabletop, 1609년. Kunsthistorisches Museum 소장. 이마나 관자놀이를 가볍게 마사지하면 세로토닌 분비가 증가해 식욕이 줄어든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다이어트 중 가장 어려운 일 중 하나는 음식의 유혹을 이겨내는 것이다. 눈앞에 펼쳐진 맛있고 자극적인 음식 앞에서 결국 무너지고 마는 순간도 생긴다. 이럴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과학적인 식욕 조절 방법을 소개한다. ◇이마·관자놀이 마사지하기이마나 관자놀이를 가볍게 마사지하면 세로토닌 분비가 증가해 식욕이 줄어든다. 세로토닌은 뇌에 식욕 억제 신호를 보내는 멜라토닌 분비를 촉진하는 호르몬이다. 미국의 한 연구에서는 고도비만 남녀 55명을 대상으로 식욕 억제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동작 네 가지(이마 마사지, 귀 마사지, 발가락 마사지, 벽 가만히 응시)를 실시한 결과, 이마 마사지를 시행한 그룹이 다른 그룹보다 식욕 억제 효과가 약 10%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페퍼민트·라벤더 향 맡기페퍼민트나 라벤더 향을 맡는 것은 식욕 억제에 효과적이다. 후각 수용체가 향을 감지하면, 이 정보가 뇌로 전달돼 포만감을 유도하는 호르몬 렙틴이 분비되고, 그 결과 식욕이 줄어드는 효과가 나타난다. ‘식욕 저널’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두 시간마다 페퍼민트 향을 맡은 사람들은 배고픔을 덜 느끼며 일주일간 평균 섭취량이 약 2800kcal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페퍼민트 향은 정신을 맑게 하고, 음식에 집중된 주의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라벤더 향은 스트레스와 불안을 완화해 식욕 조절을 돕고, 숙면을 유도함으로써 간접적으로도 식욕 억제에 기여한다. 수면이 부족하면 식욕 억제 호르몬인 렙틴 분비가 줄어들기 때문이다.◇파란색 계열, 밑이 높은 그릇 사용하기식기를 선택할 때는 색상과 형태도 중요하다. 파랑, 보라, 검정 등 어둡고 차가운 색 계열의 그릇은 쓴맛이나 상한 음식을 연상시키기 때문에 식욕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반면 빨강, 노랑, 주황 같은 따뜻한 색 계열은 매콤하고 달콤한 맛을 떠올리게 해 식욕을 자극하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또 밑바닥이 높은 그릇을 사용하면 시각적인 착시 효과로 음식의 양이 많아 보이기 때문에, 실제보다 더 많이 먹은 것 같은 포만감을 느낄 수 있다. 동덕여대 연구팀의 실험 결과, 일반 그릇에 400g의 밥을 먹은 그룹과 밑이 높
장 바티스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