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
페이지 정보
작성자 afurojoo 작성일25-06-10 20:58 조회11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다운타운에서 9일(현지시간) 경찰관들이 시위대에 맞서 도로를 통제하고 있다. 9일(현지시간) 오후 10시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 다운타운의 한 호텔 앞. 진압 장비로 중무중한 경찰들이 도로 곳곳을 통제하면서 군사작전을 진행 중인 듯한 삼엄한 분위기가 연출됐다. 경찰들은 헬맷과 방독면, 소총으로 무장하고 거리 곳곳을 막아섰다. 낮은 고도로 날아다니는 여러 대의 헬리콥터는 서치라이트를 이곳저곳에 비췄다. 일상적인 모습이었던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LAX)에서 불과 30분 떨어진 이곳에서는 전혀 다른 세계가 펼쳐졌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다운타운에서 9일(현지시간) 경찰관들이 시위대에 맞서 도로를 통제하고 있다. 중무장한 경찰들과 30m 정도 떨어진 곳에 집결한 시위대 속에 만난 폴라는 ‘이민세관단속국(ICE)는 LA에서 나가라’라는 팻말을 들고 걱정스러운 표정으로 서 있었다. 멕시코계 부모를 둔 그는 “이민자들은 미국의 중추다. 우리 자신과 그들의 인권을 보호하기 위해 나왔다”며 “트럼프는 자신이 지금 무슨 짓을 하고 있는지 모른다. 그는 지금 우리나라를 파괴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9일(현지시간) 열린 시위에 참여한 폴라가 '이민세관단속국은 LA에서 나가라'라고 적힌 팻말을 들고 서 있다. 폴라는 특히 해병대 700명이 LA에 투입된다는 보도를 듣고 매우 놀랐다고 했다. 그는 “사실 점점 위험해지는 것 같다. 해병대가 와서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른다는 게 가장 두렵다”며 “해병대는 중동에서 전쟁을 치르는 데 익숙하지, 민간인과의 전쟁에는 익숙하지 않다. 지금 이 순간 내전이 벌어지고 있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불법 이민 단속 반대 시위는 나흘 째를 맞으면서 해가 지기 전까지는 상대적으로 차분하게 진행됐다. 뉴욕타임스는 “LA 경찰이 시내에서 일부 체포에 나섰지만 시위대가 101번 고속도로를 잠시 폐쇄했던 8일에 비해 시위대와 경찰 사이의 충돌은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그럼에도 LA 도심은 날이 세종보 재가동을 막고 흐를 수 있는 금강을 지키기 위해 400일 천막농성을 벌인 활동가와 다큐 제작자가 10일 대전아트시네마에서 대전시민들과 대화했다. (사진=임병안 기자) 환경단체가 세종보 재가동을 막아내며 금강 한두리대교 아래에서 벌인 400일간의 영상 기록이 다큐멘터리로 제작돼 시사회가 열렸다. 대전환경운동연합과 대전충남녹색연합 그리고 오마이뉴스는 6월 9일 대전 아트시네마에서 '강은 길을 잃지 않는다' 상영회를 열고, 세종보를 지킨 활동가와 시민들의 대화 시간을 가졌다. 이들 환경단체는 윤석열 정부가 금강 세종보 재가동 뜻을 밝힌 2024년 4월부터 세종보 상류 300m 지점 모래톱에 천막을 치고 재가동 반대 농성을 벌였다. 천막은 지금도 그 자리에 있으며, 지역 환경단체 활동가들이 당직을 서듯 돌아가며 지키고 있으며, 주민들이 뒷받침하고 있다. 이경호 대전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과 박은영 대전충남녹색연합 사무처장 그리고 임도훈 대전충남녹색연합 부장은 이날 다큐 상영회를 마치고 방청객들과 대화했다. 오마이뉴스 김병기 기자는 환경 활동가들의 세종보 천막 투쟁을 첫날부터 영상으로 기록하기 시작해 지난 1년간 취재한 영상을 다큐멘터리로 제작해 이날 대전시민들에게 상영했다. 김병기 기자는 "지난 400일간 세종보 천만농성 현장에 1만5000여 명이 응원 방문했는데, 벽돌처럼 단편적인 사건과 이야기를 집의 형태로 하나로 엮어 세종보가 왜 중요한 지 제대로 설명하고 싶었다"라며 다큐 제작 동기를 설명했다.천막을 지킨 임도훈 대전충남녹색연합 부장은 "금강이 흐르지 못해 발생하는 녹조에 따른 독소 문제는 없는 이야기를 과장하는 게 아니라 눈앞에 닥친 실화이면서 실제로 벌어지는 일"이라며 "세종보를 개방해야 하는 이유는 이미 논쟁을 마친 사안으로 새 정부가 출범했다고 해서 안심할 수 없고 확실한 약속과 조치가 있을 때까지 재가동을 막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상영회에는 대통령직속 국가물관리위원회 초대 위원장을 지낸 허재영 충남도립대 명예총장이 참석해 끝까지 함께 했다. 1기 국가물관리위원회는 2021년 1월 세종보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